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

네트워크 환경에서 장치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 주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일부 네트워크 장치는 부팅 시 IP 주소를 모른 채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장치는 자신의 물리적 주소(MAC 주소)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요청하게 되며, 이를 처리하는 프로토콜이 바로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입니다.

RARP 계층

RARP는 OSI 모델의 데이터링크 계층(Layer 2)에서 작동하며,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와 반대되는 개념을 가집니다. ARP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MAC 주소를 찾지만, RARP는 MAC 주소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찾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RARP의 개념과 작동 방식

RARP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MAC 주소를 가진 장치)가 자신의 IP 주소를 알지 못할 때, 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보통 디스크 없는 워크스테이션(thin client)이나 초기화 과정에서 IP 정보를 저장할 수 없는 장치에서 사용됩니다.

RARP의 작동 과정

  1. 클라이언트의 요청(브로드캐스트 패킷 전송):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는 자신의 MAC 주소를 포함한 RARP 요청 패킷을 브로드캐스트로 네트워크에 전송합니다.

    • 이 패킷은 네트워크 내 모든 장치가 받을 수 있지만, 특별히 설정된 RARP 서버만이 응답을 보낼 수 있습니다.

  2. RARP 서버의 IP 주소 확인 및 응답:

    • 네트워크 내에서 RARP 서버(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관리자가 설정한 특정 서버)가 요청을 수신합니다.

    • 서버는 사전에 저장된 MAC-IP 매핑 테이블을 조회하여 해당 MAC 주소에 할당된 IP 주소를 찾습니다.

    • 해당 정보를 포함한 응답 패킷을 요청한 장치에게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합니다.

  3. IP 주소 할당 및 사용:

    • 클라이언트 장치는 RARP 서버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 해당 IP 주소를 자신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설정합니다.

    • 이후, 정상적인 네트워크 통신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RARP 패킷 구조

RARP는 ARP와 유사한 패킷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 필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필드명 설명
Hardware Type 네트워크 하드웨어 유형(이더넷의 경우 1)
Protocol Type 상위 프로토콜 유형(IPv4의 경우 0x0800)
Hardware Size 하드웨어 주소 크기(이더넷의 경우 6)
Protocol Size 프로토콜 주소 크기(IPv4의 경우 4)
Opcode 요청(Request: 3) 또는 응답(Reply: 4)
Sender Hardware Address 요청을 보낸 장치의 MAC 주소
Sender Protocol Address 요청을 보낸 장치의 IP 주소(초기 요청 시 빈 값)
Target Hardware Address IP 주소를 할당받고자 하는 장치의 MAC 주소
Target Protocol Address 요청한 장치가 필요로 하는 IP 주소(초기 요청 시 빈 값)

RARP의 한계점과 대체 기술

RARP는 유용한 프로토콜이지만 몇 가지 한계가 존재합니다.

RARP 서버가 반드시 필요

  • RAR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내에 RARP 서버가 존재해야 합니다.

  • 모든 클라이언트의 MAC-IP 매핑 정보를 유지해야 하므로 관리가 번거롭습니다.

추가 네트워크 정보 제공 불가

  • RARP는 단순히 IP 주소만 할당할 수 있습니다.

  •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등의 정보는 제공할 수 없어 네트워크 설정이 제한됩니다.

브로드캐스트 의존

  • RARP 요청 패킷은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되므로 네트워크에 불필요한 트래픽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가 커질수록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이 많아져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체 기술의 등장

  • 이러한 한계로 인해 BOOTP(Bootstrap Protocol) 및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가 등장하면서 RARP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 특히, DHCP는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하고,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RARP vs. BOOTP vs. DHCP 비교

항목 RARP BOOTP DHCP
동작 방식 MAC 주소 기반 IP 주소 요청 MAC 기반으로 IP + 추가 설정 정보 제공 동적 IP 할당 및 네트워크 설정 제공
추가 정보 제공 없음 일부 네트워크 설정 가능 서브넷, 게이트웨이, DNS 등 제공
관리 용이성 서버 관리 필요, MAC-IP 매핑 유지 정적 IP 할당이 가능하지만 설정 필요 동적 IP 할당으로 관리 효율적
브로드캐스트 사용
현재 사용 여부 거의 사용되지 않음 일부 특수 환경에서 사용 가장 널리 사용됨

결론

RARP는 네트워크 장치가 부팅 시 자신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IP 주소를 요청하는 프로토콜로, 초기 네트워크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제한된 기능과 확장성 부족으로 인해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DHCP와 같은 보다 발전된 기술이 이를 대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어 RARP는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여전히 일부 특수한 환경(예: 제한적인 네트워크 환경, 특정 산업용 장비 등)에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발전 과정을 익히는 데 있어 RARP 개념을 알아두는 것은 유용할 것입니다.

Home

 

1 thought on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