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링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신호가 물리적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입니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정보 전달의 신뢰성을 높이는 계층입니다.

데이터링크 계층의 주요 기능

오류 제어(Error Control)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의 왜곡, 간섭,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오류 검출 및 수정 기능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합니다. 대표적인 오류 검출 기법으로는 패리티 비트(Parity Bit), CRC(Cyclic Redundancy Check) 등이 있습니다. 오류가 발생한 경우, 송신 측에 재전송 요청을 보내거나, 오류 복구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합니다.

흐름 제어(Flow Control)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다를 경우, 데이터 손실이나 혼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흐름 제어를 통해 수신 측이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조정합니다. 대표적인 흐름 제어 방식으로는 정지-대기(Stop-and-Wait),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기법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데이터가 과부하되지 않고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보장합니다.

데이터 프레임 전송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작은 단위인 프레임(Frame) 형태로 나누어 전송합니다. 프레임에는 송신 및 수신 MAC 주소, 데이터 본문, 오류 검출 코드 등이 포함되어 있어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충돌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및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같은 매체 접근 제어 기술을 활용합니다.

주소 지정(MAC 주소 활용)

데이터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내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MAC 주소는 각 네트워크 장비(Network Interface Card, NIC)에 고유하게 할당된 48비트 주소로, 네트워크 내에서 장치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MAC 주소는 유니캐스트(Unicast),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이를 통해 특정 장치로만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로 패킷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링크 계층의 하위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은 크게 두 개의 하위 계층으로 나뉩니다.

  1. 논리 링크 제어(LLC, Logical Link Control) 계층

    • 상위 계층(네트워크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흐름 제어 및 오류 검출을 담당합니다.

    • 데이터 프레임을 다중화하여 여러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 매체 접근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계층

    • 실제 데이터 프레임을 네트워크 매체(이더넷, 와이파이 등)를 통해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MAC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목적지 장치로 전송하며, 충돌 방지 및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기능을 수행합니다.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장비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는 브리지(Bridge)와 스위치(Switch)입니다. 이들은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브리지(Bridge)

  • 서로 다른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 MAC 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을 필터링하고, 목적지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 작은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되며, 충돌 도메인을 분할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브리지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리피터와 달리 패킷을 분석하고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Switch)

  • 여러 장치를 연결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 MAC 주소 테이블(CAM Table, Content Addressable Memory Table)을 기반으로 목적지 장치에만 프레임을 전달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합니다.

  • 각 포트가 독립적인 통신 채널을 형성하므로 충돌 도메인을 분할하고, 네트워크 속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 스위치는 스토어 앤 포워드(Store and Forward), 컷스루(Cut-through), 프래그먼트 프리(Fragment Free) 방식으로 프레임을 처리합니다.

결론

데이터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하는 핵심 계층입니다. 오류와 흐름을 제어하고, MAC 주소 기반 통신을 수행하며,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또한, 브리지와 스위치와 같은 장비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하며,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이러한 데이터링크 계층의 역할을 이해하면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으며, 더욱 안정적인 네트워크 운영이 가능합니다. 네트워크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데이터링크 계층의 중요성을 숙지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HTTPS란 무엇인가?

 

1 thought on “데이터링크 계층”

Leave a Comment